투자운용 (자산운용본부)
당사의 투자전략은 대상 유니버스 및 개별 자산의 선정부터 Exit까지 당 본부 내재 시스템에 따라 철저하게 관리되고 있으며, 주기적으로 운용 성과에 대한 기여도 분석 및 시장 비교를 통해 세부 투자 의사결정 시스템을 점진적으로 개선해 나가고 있습니다.
운용 부문별 투자 의사결정 체계
운용 부문 | 선정기준 | 모니터링 | Exit | |
---|---|---|---|---|
기본 원칙 | 투자 안정성 최우선 고려 | 잠재 위험 지표의 기준 초과 시 단계별 대응 | 영역별 특화 회수 전략 | 우발 상황 고려 |
비상장/메자닌 |
대표이사 평판 및 경영 이력 안정성
기본 재무제표 및 투자 지표 확인 원리금 회수 가능성 다각도로 분석 중장기 섹터 모멘텀 전망 |
EOD 발생 가능성 분석
실적/경영지표 등 업데이트 주가 추이 및 수급 모니터링 |
주가 상승 시 전환권 행사
주가 하락 시 Refixing 적용 주가 하락 시 조기상환 청구 전환권 행사 전 채권 매각 태핑 |
우발 상황 발생 시 즉각 대응하여 손실 가능성 최소화 다양한 옵션/채널 설정으로 Exit 용이성 확보 |
공모주 |
단기 섹터 모멘텀
비즈니스 모델 매력도 상장일 유통구조/잠재 희석 물량 지수 편입 가능성 및 시점 |
수요예측 진행 후 비교기업 뉴스
섹터 모멘텀 동향 |
시초 및 장 개시 후 매도 비중 결정
직전 상장 건 분위기 시장 내 상대적 단기 수급 주목도 |
|
유통주식 |
매크로 이슈 파악
중장기 산업 전망 섹터 간 수급 상대강도 단기 실적 추정치 상향 가능성 주주환원 확대 가능성 |
전방 시장 뉴스 플로우
산업 리서치 전망 섹터 매력도 판단 개별 기업 실적 추정치 |
섹터별 실적 추정치, 예상 배당수익률 등 펀더멘탈 밴드를 이탈한 수급 원인 분석 후 체계적 대응 |